2020. 04. 24 (금) 큐티: 신명기 9:9-21
<묵상하기>
오늘 모세는 광야 생활 동안
이스라엘이 저질렀던
대표적인 범죄에 대해
되새기게 한다.
모세를 통해 율법을 받겠다고
요청한 백성들의 뜻을
하나님께서 받아들이셔서
모세로 하여금 단독으로
호렙산, 즉 시내산에 올라
40일 주야를 금식하며
하나님과 교제하도록 하셨다.
그리고 그 교제 가운데
하나님은 자신의 손으로 직접
율법을 새기신 두개의 돌판을
모세에게 주셨다.
그러시면서 이스라엘이 이미
우상을 만들어 타락하였음을
한탄하시고 그들에게 진노를
내리겠다고 말씀하셨다.
모세가 돌판을 들고 황급히
이스라엘 백성에게 돌아와 보니
금송아지 우상에게 예배하고
축제를 벌이고 있었다.
큰 충격을 받은 모세는
하나님이 새겨주신
두 돌판을 던져
산산조각을 냈다.
예전에는 모세의 이러한 행동이
인간적인 분노를 참지 못해
큰 실수를 저지른 것으로 생각했었다.
그리고 하나님이 모세를
인간 중 가장 온유한 자라고
말씀하셨을 때 저렇게 불 같은
성격을 지닌 사람을 어떻게
온유하다고 말씀하실 수 있을까
의문을 가졌었다.
그러나 오늘은
산산조각난 돌판에서
예수님의 모습을 보게 된다.
고대 근동 지방에서는
국가간 계약이든
개인들 사이의 언약이든
대부분 말로써 이루어지다 보니
언약을 맺는 것에 대한
특별한 의식이 필요했다고 한다.
즉 짐승의 몸을 두 개로 쪼개어 겹쳐 놓고
만약 언약을 어기면 어긴 사람의 몸이
이렇게 쪼개질 것이라는 의미로
언약 당사자들이 쪼개진 짐슴의
몸 사이를 지나가는 의식을 행했다고 한다.
그런데 특아하게도 창세기에서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을 때
하나님만 쪼개진 짐승들
사이를 지나가셨다.
이 장면은 인간이 언약을 어겨
타락하여도 인간이 쪼개지는 것이 아니라
계약의 다른 당사자인 하나님이
쪼개지실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것이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이다.
오늘 말씀 또한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들 사이에 맺은
언약이 사람들의 불순종과 타락으로
깨어지는 현장을 묘사하고 있다.
이때 돌판이 산산조각이 났다.
돌판은 하나님이 자신의
손으로 새기신 말씀이므로
하나님 자신이시다.
그것이 산산조각 난 것이므로
쪼개진 돌판에서 그와 같이
쪼개진 예수님의 모습을 보았다.
모세는 이후 다시 40일간을
주야로 금식하여 하나님께 간구함으로
죄악을 범한 이스라엘과 아론이
진노를 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이 진노를 면한 것은
하나님이신 예수님의 쪼개짐이
전제된 것은 아닐까?
<기도하기>
주님.
예수님의 쪼개지심을
묵상합니다.
그리고 다 이루었다 말씀하심을
기억합니다.
내 삶에 산재한 금송아지를
불사르고 태워 흔적도 없이 하소서.
순간 순간 저의 삶을 통치하시고
순간 순간 주의 임재 속에 살게 하소서.
아멘.
'큐티 > 신명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뜻은 이스라엘의 멸망이 아니다 (0) | 2020.04.26 |
---|---|
나는 너희의 반역하는 모습 밖에 본 것이 없다 (0) | 2020.04.25 |
너희는 간신히 진멸을 피한 백성임을 기억하라 (0) | 2020.04.23 |
배부름은 교만이라는 자식을 두게 한다 (0) | 2020.04.22 |
광야, 만나, 그리고 말씀 (0) | 202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