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0(금) 큐티: 요한계시록 19:1-10
<묵상하기>
*성도의 혼례복*
큰 성 바벨론이
하나님이 심판으로
무너진 환상을 본 후,
사도 요한은 허다한
무리의 큰 음성을
듣는다.
그들은 할렐루야를
외치고 있었다.
할렐루야라는 말은
구약성경에서는
시편에, 그리고
신약성경에서는
요한계시록의
오늘 본문에만
등장한다고 한다.
할렐루야는
히브리어이며,
그 뜻은 "너희는
여호와를 찬양하라!"
이다.
큰 성 바벨론이
무너진 후, 성도들이
"여호와를 찬양하라"고
노래한 것이다.
무엇에 대한 찬양일까?
여호와의 구원의 능력에
대하여 찬양하라는 것이다.
또한 여호와의 심판의
능력에 대해 찬양하라는
것이다.
하늘에 있는 허다한
무리의 성도들이
두 번째로 할렐루야를
외치니 그 연기가
세세토록 올라갔다.
"할렐루야" 찬양이
영원이 있을 것임을
상징한 것이다.
성도들의 할렐루야 후,
24 장로와 4 생물들이
"아멘"으로 화답하였다.
그리고 그들 자신도
할렐루야를 외쳤다.
보좌에서 음성이
이르시되, 하나님의
종들은 큰 자나 작은
자나 모두 하나님을
찬양하라 하셨다.
보좌에서의 음성이란
어린 양 예수님의
음성을 의미하는 것
같다.
-------------------------
사도 요한은 다시
많은 물 소리와도
같도 큰 우렛소리와도
같은 소리를 듣는다.
그 소리 역시 할렐루야를
외쳤는데, 그것은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할렐루야였다.
하나님의 통치가
선포된 것이다.
그리고 어린 양의
혼례식이 열리게
된다.
어린 양의 아내,
즉 성도들이
준비를 마쳤기
때문이다.
신부가 되기 위한
성도들의 준비란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는 것이다.
자주빛의 화려한 옷과
장신구로 자신을
치장했던 큰 음녀와는
다르게, 어린 양의
신부는 세마포 옷을
입었다.
그 세마포 옷은
빛나고 깨끗하였는데,
그 이유는 그들의
행실이 옳았기
때문이라 하였다.
요한계시록의 이전
부분들에서는 박해
가운데 믿음을 지키고
인내한 성도는 흰 옷을
입는다고 하였다.
즉 십자가에 보혈로
씻은 흰 옷을 입는다고
하였다.
그런데 그 흰 옷은
예복, 혼례복은
아니었다.
그들의 혼례복은
옳은 행실로 인해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이다.
성도들은 십자가의
보혈로 구속함을
받으면 흰 옷을
입게 되나, 그 이후
그들이 옳은 행실로
살아감으로써, 즉
그들의 성화로 인해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입게
되는가 보다.
어쩌면 길 거리를
지나다가 혼인 잔치에
초대받았으나, 예복을
입지 못해 쫓겨난
사람은 (마 22: 9-13)
그리스도를 영접하였으나
이후 그의 삶이 성화되지
못했던 사람이 아니었을까?
즉 그가 예복,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으로
혼례복을 준비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항상 성경의 이 부분이
의문이었기에 조심스레
추측해본다.
천사가 사도 요한에게
말하길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은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였다.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았다 함은 신부로
초대되었다는 의미이다.
사도 요한이 그 말을
전한 천사에게 경배하려
하자, 천사는 극구
만류하였다.
자신도 너희와 같이
하나님의 종일 뿐이니,
오직 하나님만 경배하라
말하였다.
그리고 예수님의 말씀은
성령의 감동을 받은
예언의 말씀이라
알려주었다.
<기도하기>
주님.
할렐루야!
주님의 구원의
능력을 찬양합니다.
할렐루야!
주님의 심판의
능력을 찬양합니다.
할렐루야!
주님의 통치를
찬양합니다.
매일 매일 옳은 행실을
선택함으로써,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 옷을
한 땀 한 땀 준비하게
하소서.
등잔의 기름을 준비하지
못한 처녀들처럼, 혼례복을
준비하지 못하여 혼례식에
들어가지 못하는 신부가
되지 않게 도우소서.
고지가 바로 저긴데,
여기서 멈추고
자주빛 옷을
택하는 신부가
되지 않게 하소서.
아멘!

* 두란노 출판사 발행 생명의 삶 본문 묵상을 올리는 블로그입니다.
'큐티 > 요한계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 붉은 용, 사탄 마귀는 남아 있었다! (0) | 2024.12.22 |
---|---|
새끼 나귀가 아니라, 백마를 타셨다 (0) | 2024.12.21 |
바벨론 멸망에 애통한 자, 즐거워하는 자 (4) | 2024.12.19 |
무너졌도다! 무너졌도다! (2) | 2024.12.18 |
결론은 멸망으로 들어가는 것.... (0)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