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토) 큐티: 민수기 13:1-24
<묵상하기>
*정탐꾼을 보내다*
오늘 본문에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가나안 땅을 정탐할
사람들을 뽑으라 하셨다.
정탐꾼은 각 지파에서
지휘관을 한 사람씩
선정하여 12명을
세우라 명하셨다.
그런데 신명기
1장 22-23절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요청하여 정탐꾼을
세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정탐꾼을 세우라고
명령하심과 동시에,
이스라엘 백성들도
모세에게 정탐꾼을
가나안에 보내자고
요청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하나님이 정탐꾼을
세우라고 하신 것은
전쟁 전에 있는 통상적인
탐색의 목적이셨다.
즉 여호수아가
여리고를 치기
직전에 정탐꾼을
보내는 것과 같은
목적이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로
하여금 곧바로 가나안
정복 전쟁을 수행하게
하시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셨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에게
정탐꾼을 보내자고
요청한 것은 그와는
의도와 목적이 달랐다.
그들은 가나안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신뢰하지
못했다.
그래서 가나안 땅에
대한 두려움과
의구심으로 가나안을
탐색하기 원했던 것이다.
가나안을 정복하기
위해 전쟁을 하는
것에 대해 주저하는
마음이 컸던 것이다.
------------------
모세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각 지파에서 지휘관을
한 사람씩 선정하여
12 명의 정탐꾼을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 지휘관들의
이름이 민수기 1장에서
세워진 각 지파의
지휘관들과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민수기 1장에서 선정되
지휘관들은 각 지파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와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이다.
반면, 13장에 이름이
기록된 지휘관들은
정탐이라는 특수한
임무를 맡기기 위해
한정적인 기간 동안
지휘관으로 세워진
사람들로 보인다.
---------------------
모세는 정탐꾼들에게
네겝에서 헤브론
산지로 올라가며
정탐하라 명하였다.
그 땅 거민들이
얼마나 많은지,
얼마나 강한지,
땅은 비옥한지,
성읍은 산성인지
등을 탐색하라고
하였다.
즉 전쟁을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들을
알아오라고 한 것이다.
특히 땅이 얼마나
비옥한지를 알기
위해 그 땅의
실과를 가져오라
하였다.
정탐꾼들은 모세의
명령에 따라 가나안을
탐색하였다.
그들이 보니
헤브론은 매우
유서 깊은
성읍이었다.
애굽의 소안보다 먼저
세워진 성읍이었다.
애굽의 소안은 이집트
역사상 왕조 시대에
번성했던 도시로,
파라오의 여름 궁전이
있었으며, 때로 수도로
역할을 했던 역사가
깊은 성읍이다.
이러한 소안보다
헤브론이 더 먼저
세워진 것을 밝힘으로써,
헤브론의 오랜 역사성을
나타내었다.
헤브론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거주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그 헤브론에는 아낙
자손, 즉 거인족인
아히만, 세새, 달매가
거주하고 있었다.
40여년이 지난 후,
의로운 정탐꾼 중
하나였던 갈렙이
또 다른 의로운
정탐꾼이었던
여호수아에게
"이 산지를 내게
주소서!" 하고
요청한다.
가장 정복하기 어려운
헤브론을 기업으로
줄 것을 요청한 것이다.
<기도하기>
주님.
주님은 이스라엘에게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을 속히
주시고 싶어
하셨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뜻을
온전히 신뢰하지
못하고 두려움과
의구심 속에
있었습니다.
주님은 저희에게
수 많은 말씀으로
언약을 주셨으나,
저희는 늘 두려워합니다.
늘 주님의 뜻에 대해
의구심을 갖습니다.
그리하여 저희 인생에
정탐꾼을 세우기
원합니다.
그리고 주님의 말씀보다
정탐꾼들의 말을
더 신뢰합니다.
저희로 더욱 지혜롭게
하시고 분별력을
갖게 하소서.
정탐꾼 없이도,
주님의 말씀을
믿고 담대하게
나아가게 하소서.
아멘!

* 두란노 출판사 발행 생명의 삶 본문 묵상을 올리는 블로그입니다.
'큐티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원망은 하나님이 들으신다! (0) | 2025.04.21 |
---|---|
훼손된 40의 의미 (0) | 2025.04.13 |
아론의 성장 과정 (0) | 2025.04.11 |
미리암과 아론이 반기를 들었다 (0) | 2025.04.10 |
고기를 주셨다. 그러나 먹게 하지는 않으셨다!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