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3(화) 큐티: 창세기 12:10-20
<묵상하기>
다른 족속들로 인해
남쪽 광야 가까이로
밀려난 상황인데,
설상가상으로
기근까지 덮쳤다.
주신다는 복은 오지 않고,
고난이 반복되자, 아브람은
하나님의 언약을 살짝
잊은 듯 하다.
그래서 애굽에 가서
나그네 생활을 하기로
결정하여 온 가족을
이끌고 애굽으로 간다.
말년의 야곱은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의
초청으로 애굽에 가게
되었음에도, 베델에 제단을
쌓고 예배를 드린다.
가나안 땅이 약속의
땅인데, 그 곳을 떠나
애굽으로 가는 것이
옳은 지를 하나님께
묻기 위해 드린 예배였다.
그리고 애굽으로 가라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서야,
애굽을 향해 떠났다.
반면, 아브람은 애굽으로
내려갈 때, 하나님의 뜻을
헤아리지 않았다.
가나안은 기근이나 애굽은
비옥하니, 그곳으로 가는 것이
너무도 타당한 판단이라
믿었던 것이다.
그리고 애굽에 가면
아름다운 아내 때문에
자신이 목숨을 잃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인간적인
기지를 발휘한다.
사람들에게 아내를
누이라고 알린 것이다.
완전한 거짓말은 아니었다.
사래는 아내이지만,
배다른 누이이기도
했으니까....
세상을 살다 보면
아무리 성도라 해도,
진실을 말하지
못할 때가 있다.
그래서 거짓말을
여러 유형으로
구분하여 위안을
얻기도 한다.
새빨간 거짓말,
하얀 거짓말,
살짝 비튼 거짓말,
선택적 거짓말,
진실이 아닌 사실 등 등...
그 중 아브람이 아내를
누이라고 말한 것은
선택적 거짓말에
해당할 것이다.
모든 진실 중
일부만 선택한
거짓말이라는
의미이다.
---------------------------------
그렇게 꾀를 내었지만,
그것은 얕은 수에 불과하였다.
결국 사래는 미혼 여성으로
알려졌고, 아브람은 그녀의
오빠이므로 사래의 혼인을
승인할 수 있는 유일한
친족이 된 것이다.
그래서 애굽 왕 바로는
오빠인 아브람에게
지참금을 주는 것으로
사래와의 혼인을 승인받은
것으로 여겼다.
아브람이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언약의 기초가 흔들리게
된 것이다.
결국 하나님께서 관여하셔서
복잡하게 얽힌 상황의
매듭을 푸셨다.
아브람이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된 것은 아브람의
믿음 때문이 아니다.
아브람이 믿는 자들의
조상이 된 것은 하나님의 믿음,
즉 하나님의 신실하심 때문이었다.
<적용하기>
하나님은 결국 선을 이루신다.
즉 우리의 삶을 결국
선한 방향으로 이끄신다.
애초에 아브람이
하나님의 뜻을
따랐더라면, 그는
애굽에 내려가지 않고
약속의 땅, 가나안에서
기근이라는 고난을
인내로 버텼어야 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뜻을 묻지도 않고
인간적인 생각을 따라
애굽으로 내려감으로써
아내를 빼앗기는 더 큰
고난에 빠졌다.
그러한 아브람의
불순종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아브람을
거부로 만드셨다.
기근의 시간 동안 가나안
사람 모두 가난해졌는데,
아브람만이 바로가 하사한
지참금으로 인해 거부가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애굽에서 다시
가나안으로 돌아왔을 때,
아브람은 가나안 족속들이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재산을 가진 유력한 사람이
되게 하셨다.
가나안에서 살아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셨던 것이다.
'큐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브람과 318명의 용사 (0) | 2022.08.25 |
---|---|
헤어짐 (0) | 2022.08.24 |
아브람의 부르심에는 이유가 없다 (0) | 2022.08.22 |
의인의 출생과 죽음을 모두 지켜보시는 하나님 (0) | 2022.08.21 |
교만의 상징 바벨탑 (1)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