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9(월) 큐티: 창세기 16:1-16
<묵상하기>
하나님이 아브람으로
하여금 수도 없이 많은
자손과 땅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신지도 많은
시간이 흘렀다.
그런데도 여전히 사래에게
아이가 생기지 않았다.
아브람과 사래의 믿음은
점차 옅어져 갔다.
하나님의 말씀과
약속을 잊은 사람은
세상의 풍습을 따르게 된다.
아브람과 사래도 세상의
풍습을 따라 사래의 여종을
아브람이 취하여 자식을
낳기로 결정하였다.
사래의 여종, 하갈은 그들이
애굽으로 내려갔을때, 얻은
종으로, 그녀는 사래에게
매우 신실하였다.
그래서 사래는 특별히
하갈을 택하여
아브람에게 주었다.
그리고 하갈은 임신하였다.
임신을 하더니 그렇게
사래에게 신실하던
하갈이 변하였다.
사래에게 교만하기가
이를데 없어, 사래가
모욕감을 느낄 정도였다.
아이가 없던 한나를
멸시하고 모욕하던
브닌나처럼....
하나님의 뜻을 버리고
자신의 뜻대로 살던
사람은 그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을 탓하게 된다.
하갈이 자신을 멸시하자,
사라는 남편과
하나님을 원망한다.
마치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첩을
얻은 것처럼....
----------------------------------------
아브람은 하갈에 대한
일을 전적으로 사래의
뜻에 맡긴다.
그러자 사래는 하갈을
핍박하였고, 아브람은
사래의 핍박을 방관하였다.
핍박을 견디지 못한
하갈은 아브람의 집에서
도망쳤다.
그러나 주인으로부터
도망친 종은 갈 곳이 없다.
광야 밖에는....
광야를 방황하던 하갈은
여호와의 사자를
만나게 된다.
여호와의 사자는 하갈에게
그녀가 누구이며, 어디에 있어야
하는 지를 재인식시켜 주셨다.
그리고 하갈이 아들을
낳을 것인데 이름을
이스마엘이라고
부르라 하셨다.
이스마엘은 모든 사람들과
싸우며 거친 삶을 살겠지만,
들나귀처럼 살아남을 것이라
예언하셨다.
그 예언이 하갈에게 위로가
되었으리라...
험한 삶을 살 것이나
그래도 살아남을
것이라는 말씀이
위안이 되었을 것이다.
하갈은 자신이 하나님을
만났음을 깨닫고, 자신을
돌아보시는 하나님을
찬양한다.
하갈은 애굽의 여인이나
사래의 몸종이 되면서
아브람 집안의 하나님을
믿었던 것 같다.
아브람의 종 엘리에셀처럼
하갈도 주인의 하나님을
믿었을 것이다.
그리고 하갈은 아들을
낳았으며 그의 이름은
하나님의 뜻대로
이스마엘이라 지어졌다.
----------------------------------------
시간이 지나면 은혜도
언약도 희미해진다.
사람이기 때문에...
그럴수록 더욱 믿음을
붙들고 기다려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고, 사람의 뜻대로
행해도 자식은 생긴다.
문제는 그가 언약의
자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언약의
자식이 아닌 자의 고통도
돌아보신다.
하나님은 이스마엘의
고통을 돌아보셨다.
그가 언약의 자식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브람의 자식이기
때문에 돌아보신 것이다.
결국 하나님의 인자하심은
믿는 자의 실패까지도
감당하신다.
'큐티 > 창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라는 왜 귀히 여김을 받았을까? (0) | 2022.09.01 |
---|---|
13년 동안 연락을 끊으신 하나님 (0) | 2022.08.30 |
하나님이 둘로 쪼개지신다. 십자가에서.... (0) | 2022.08.28 |
의인의 조건 (0) | 2022.08.27 |
멜기세덱 (0) | 2022.08.26 |